맨위로가기

KBO 신인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BO 신인상은 한국야구위원회(KBO)에서 매년 선정하는 상으로, 프로 입단 5시즌 이내, 투수는 30이닝, 타자는 60타석을 초과하지 않은 선수에게 주어진다. 1983년 박종훈을 시작으로, 2024년 김택연까지 다양한 선수들이 수상했으며, 두산 베어스가 8회로 가장 많은 신인왕을 배출했다. 신인왕은 해당 시즌의 뛰어난 활약을 보여준 선수에게 수여되며, 류현진(2006년)과 같은 시즌 MVP 수상자, 박재홍(1996년)과 같이 프로야구 최초 30-30 클럽 달성자, 이정후(2017년)와 같이 10년 만에 루키 신인왕이 되는 등 다양한 특징을 보여준다.

2. 신인 선수 정의 및 후보자 선정 기준

KBO 회원 구단의 선수로서 5시즌 이내, 투수는 30이닝 이내(당해 연도 제외), 타자는 60타석 이내의 누계 출장 수를 초과하지 않은 선수에게 신인상 후보 자격이 주어진다. 각 조건 모두 당해 연도는 제외된다.[8] 단, 외국 프로 야구 기구에 소속되었던 선수는 신인 선수 자격에서 제외된다.[8]

3. 역대 수상 선수

KBO 역대 신인상 수상자 명단은 다음과 같다.

연도소속 팀선수명포지션시즌 성적주석 및 기타
1983OB 베어스박종훈외야수타율 0.312, 117안타안타 1위, 타격 4위, 출루율 5위, 골든글러브
1984OB 베어스윤석환투수평균자책 2.84, 12승 8패 25세이브구원 1위, 탈삼진 6위, 다승 8위, 평균자책 8위, 승률 10위, 구원승 2위
1985해태 타이거즈이순철내야수타율 0.304, 67득점, 31도루득점 1위, 도루 3위, 장타율 6위, 골든글러브
1986MBC 청룡김건우투수평균자책 1.81, 18승 6패다승 4위, 승률 4위, 평균자책 5위, 탈삼진 6위, 선발승 3위
1987빙그레 이글스이정훈외야수타율 0.335, 124안타, 4홈런안타 1위, 타격 3위, 출루율 5위, 득점 6위, 도루 7위, 장타율 10위, 22경기 연속 안타
1988MBC 청룡이용철투수평균자책 2.74, 7승 11패
1989태평양 돌핀스박정현투수평균자책 2.15, 19승 10패 2세이브선발승 1위
1990LG 트윈스김동수포수타율 0.290, 62타점골든글러브
1991쌍방울 레이더스조규제투수평균자책 1.64, 9승 7패 27세이브세이브 1위
1992롯데 자이언츠염종석투수평균자책 2.33, 17승 9패 6세이브평균자책 1위, 골든글러브, 선발승 공동 3위
1993삼성 라이온즈양준혁1루수타율 0.341, 130안타, 23홈런, 90타점타격 1위, 장타율 1위, 출루율 1위, 홈런 2위, 타점 2위
1994LG 트윈스유지현유격수타율 0.305, 15홈런, 51도루
1995삼성 라이온즈이동수내야수타율 0.288, 22홈런
1996현대 유니콘스박재홍외야수타율 0.295, 30홈런, 36도루, 108타점프로야구 최초 30-30클럽, 홈런 1위, 타점 1위, 골든글러브
1997LG 트윈스이병규외야수타율 0.305, 151안타, 7홈런, 23도루골든글러브
1998현대 유니콘스김수경투수평균자책 2.76, 12승 4패 2세이브신인 최다 탈삼진, 승률왕, 선발승 공동 10위
1999두산 베어스홍성흔포수타율 0.258, 91안타, 16홈런
2000SK 와이번스이승호투수평균자책 4.51, 10승 12패 9세이브
2001한화 이글스김태균1루수타율 0.335, 82안타, 20홈런
2002현대 유니콘스조용준투수평균자책 1.90, 9승 5패 28세이브세이브 2위
2003현대 유니콘스이동학투수평균자책 5.35, 8승 3패
2004현대 유니콘스오주원투수평균자책 3.99, 10승 9패선발승 공동 9위
2005삼성 라이온즈오승환투수평균자책 1.18, 10승 16세이브 11홀드세이브 6위, 탈삼진 5위, 한국시리즈 MVP, 한국 프로 야구 최초 트리플 더블 (10승 11홀 16S)
2006한화 이글스류현진투수평균자책 2.23, 18승 6패, 204탈삼진투수 삼관왕(다승/탈삼진/평균자책 1위), 시즌MVP, 골든글러브
2007두산 베어스임태훈투수평균자책 2.40, 7승 3패 1세이브 20홀드홀드 2위
2008삼성 라이온즈최형우외야수타율 0.276, 106안타, 19홈런, 71타점방출 경력 신인왕 (이후 2011 홈런왕)
2009두산 베어스이용찬투수평균자책 4.20, 26세이브세이브 공동 1위
2010두산 베어스양의지포수타율 0.267, 100안타, 20홈런, 68타점신인 포수 최초 20홈런
2011삼성 라이온즈배영섭외야수타율 0.294, 100안타, 2홈런, 24타점, 33도루역대 최고령 신인왕 (만 25세)
2012넥센 히어로즈서건창2루수타율 0.266, 115안타, 1홈런, 70득점, 39도루3루타 1위, 도루 2위, 골든글러브, 방출 경력 신인왕, 구단 첫 신인왕(이후 2014 MVP 수상)
2013[9]NC 다이노스이재학투수평균자책 2.88, 10승 5패 1세이브평균자책점 2위, WHIP 1위, 구단 첫 신인왕, 3번째 신생팀 첫 신인왕, 2차 드래프트 이적 경력 신인왕
2014NC 다이노스박민우2루수타율 0.298, 124안타, 1홈런, 87득점, 50도루도루 2위, 역대 최초 신생팀 2년 연속 신인왕 배출
2015삼성 라이온즈구자욱1루수, 3루수, 외야수타율 0.349, 143안타, 11홈런, 57타점, 97득점, 17도루역대 최고 타율 신인왕
2016넥센 히어로즈신재영투수평균자책 3.90, 15승 7패다승 공동 3위, 평균자책점 7위, 선발승 공동 3위, 트레이드 경력 신인왕
2017[10]넥센 히어로즈이정후외야수타율 0.324, 179안타, 2홈런, 47타점, 12도루2007년 임태훈 이후 10년 만에 루키 신인왕, 신인 최다 안타 (179안타), 신인 최다 득점 (111득점), 1998년 강동우 이후 신인 첫 3할 타율
2018kt wiz강백호외야수타율 0.290, 153안타, 29홈런, 84타점, 3도루2년 연속 루키 신인왕, kt wiz 구단 첫 신인왕, 역대 최초 고졸 신인 시즌 1번째 홈런, 1996년 박재홍에 이은 루키 신인 홈런 2위(박재홍 1996년 30홈런)
2019LG 트윈스정우영투수평균자책 3.72, 4승 6패 1세이브 16홀드3년 연속 루키 신인왕, 홀드 8위, 1997년 이병규 이후 22년 만의 LG 트윈스 구단 신인왕
2020kt wiz소형준투수평균자책 3.86, 13승 6패선발승 7위
2021KIA 타이거즈이의리투수평균자책 3.61, 4승 5패 94탈삼진타이거즈 구단 역사상 2번째 신인왕.
2022두산 베어스정철원투수평균자책 3.10, 4승 3패, 23홀드역대 신인 최다 홀드 기록
2023한화 이글스문동주투수평균자책 3.72, 8승 8패, 95탈삼진
2024두산 베어스김택연투수평균자책 2.08, 3승 2패, 78탈삼진


3. 1. 연도별 수상 선수

연도소속 팀선수명포지션시즌 성적주석 및 기타
1983OB 베어스박종훈외야수타율 0.312, 117안타안타 1위, 타격 4위, 출루율 5위, 골든글러브
1984OB 베어스윤석환투수평균자책 2.84, 12승 8패 25세이브구원 1위, 탈삼진 6위, 다승 8위, 평균자책 8위, 승률 10위, 구원승 2위
1985해태 타이거즈이순철내야수타율 0.304, 67득점, 31도루득점 1위, 도루 3위, 장타율 6위, 골든글러브
1986MBC 청룡김건우투수평균자책 1.81, 18승 6패다승 4위, 승률 4위, 평균자책 5위, 탈삼진 6위, 선발승 3위
1987빙그레 이글스이정훈외야수타율 0.335, 124안타, 4홈런안타 1위, 타격 3위, 출루율 5위, 득점 6위, 도루 7위, 장타율 10위, 22경기 연속 안타
1988MBC 청룡이용철투수평균자책 2.74, 7승 11패
1989태평양 돌핀스박정현투수평균자책 2.15, 19승 10패 2세이브선발승 1위
1990LG 트윈스김동수포수타율 0.290, 62타점골든글러브
1991쌍방울 레이더스조규제투수평균자책 1.64, 9승 7패 27세이브세이브 1위
1992롯데 자이언츠염종석투수평균자책 2.33, 17승 9패 6세이브평균자책 1위, 골든글러브, 선발승 공동 3위
1993삼성 라이온즈양준혁1루수타율 0.341, 130안타, 23홈런, 90타점타격 1위, 장타율 1위, 출루율 1위, 홈런 2위, 타점 2위
1994LG 트윈스유지현유격수타율 0.305, 15홈런, 51도루
1995삼성 라이온즈이동수내야수타율 0.288, 22홈런
1996현대 유니콘스박재홍외야수타율 0.295, 30홈런, 36도루, 108타점프로야구 최초 30-30클럽, 홈런 1위, 타점 1위, 골든글러브
1997LG 트윈스이병규외야수타율 0.305, 151안타, 7홈런, 23도루골든글러브
1998현대 유니콘스김수경투수평균자책 2.76, 12승 4패 2세이브신인 최다 탈삼진, 승률왕, 선발승 공동 10위
1999두산 베어스홍성흔포수타율 0.258, 91안타, 16홈런
2000SK 와이번스이승호투수평균자책 4.51, 10승 12패 9세이브
2001한화 이글스김태균1루수타율 0.335, 82안타, 20홈런
2002현대 유니콘스조용준투수평균자책 1.90, 9승 5패 28세이브세이브 2위
2003현대 유니콘스이동학투수평균자책 5.35, 8승 3패
2004현대 유니콘스오주원투수평균자책 3.99, 10승 9패선발승 공동 9위
2005삼성 라이온즈오승환투수평균자책 1.18, 10승 16세이브 11홀드세이브 6위, 탈삼진 5위, 한국시리즈 MVP, 한국 프로 야구 최초 트리플 더블 (10승 11홀 16S)
2006한화 이글스류현진투수평균자책 2.23, 18승 6패, 204탈삼진투수 삼관왕(다승/탈삼진/평균자책 1위), 시즌MVP, 골든글러브
2007두산 베어스임태훈투수평균자책 2.40, 7승 3패 1세이브 20홀드홀드 2위
2008삼성 라이온즈최형우외야수타율 0.276, 106안타, 19홈런, 71타점방출 경력 신인왕 (이후 2011 홈런왕)
2009두산 베어스이용찬투수평균자책 4.20, 26세이브세이브 공동 1위
2010두산 베어스양의지포수타율 0.267, 100안타, 20홈런, 68타점신인 포수 최초 20홈런
2011삼성 라이온즈배영섭외야수타율 0.294, 100안타, 2홈런, 24타점, 33도루역대 최고령 신인왕 (만 25세)
2012넥센 히어로즈서건창2루수타율 0.266, 115안타, 1홈런, 70득점, 39도루3루타 1위, 도루 2위, 골든글러브, 방출 경력 신인왕, 구단 첫 신인왕(이후 2014 MVP 수상)
2013[9]NC 다이노스이재학투수평균자책 2.88, 10승 5패 1세이브평균자책점 2위, WHIP 1위, 구단 첫 신인왕, 3번째 신생팀 첫 신인왕, 2차 드래프트 이적 경력 신인왕
2014NC 다이노스박민우2루수타율 0.298, 124안타, 1홈런, 87득점, 50도루도루 2위, 역대 최초 신생팀 2년 연속 신인왕 배출
2015삼성 라이온즈구자욱1루수, 3루수, 외야수타율 0.349, 143안타, 11홈런, 57타점, 97득점, 17도루역대 최고 타율 신인왕
2016넥센 히어로즈신재영투수평균자책 3.90, 15승 7패다승 공동 3위, 평균자책점 7위, 선발승 공동 3위, 트레이드 경력 신인왕
2017[10]넥센 히어로즈이정후외야수타율 0.324, 179안타, 2홈런, 47타점, 12도루2007년 임태훈 이후 10년 만에 루키 신인왕, 신인 최다 안타 (179안타), 신인 최다 득점 (111득점), 1998년 강동우 이후 신인 첫 3할 타율
2018kt wiz강백호외야수타율 0.290, 153안타, 29홈런, 84타점, 3도루2년 연속 루키 신인왕, kt wiz 구단 첫 신인왕, 역대 최초 고졸 신인 시즌 1번째 홈런, 1996년 박재홍에 이은 루키 신인 홈런 2위(박재홍 1996년 30홈런)
2019LG 트윈스정우영투수평균자책 3.72, 4승 6패 1세이브 16홀드3년 연속 루키 신인왕, 홀드 8위, 1997년 이병규 이후 22년 만의 LG 트윈스 구단 신인왕
2020kt wiz소형준투수평균자책 3.86, 13승 6패선발승 7위
2021KIA 타이거즈이의리투수평균자책 3.61, 4승 5패 94탈삼진타이거즈 구단 역사상 2번째 신인왕.
2022두산 베어스정철원투수평균자책 3.10, 4승 3패, 23홀드역대 신인 최다 홀드 기록
2023한화 이글스문동주투수평균자책 3.72, 8승 8패, 95탈삼진
2024두산 베어스김택연투수평균자책 2.08, 3승 2패, 78탈삼진


3. 1. 1. 1980년대

연도선수포지션시즌 성적
1983박종훈OB 베어스외야수타율 0.312, 117안타
1984윤석환OB 베어스투수평균자책 2.84, 12승(2선발승) 8패 25세이브
1985이순철해태 타이거즈내야수타율 0.304, 67득점, 31도루
1986김건우MBC 청룡투수평균자책 1.81, 18승(15선발승) 6패
1987이정훈빙그레 이글스외야수타율 0.335, 124안타, 4홈런
1988이용철MBC 청룡투수평균자책 2.74, 7승(6선발승) 11패
1989박정현태평양 돌핀스투수평균자책 2.15, 19승(15선발승) 10패 2세이브


3. 1. 2. 1990년대

연도소속 팀선수명포지션시즌 성적주석 및 기타
1990LG 트윈스김동수포수타율 0.290, 62타점골든글러브
1991쌍방울 레이더스조규제투수평균자책 1.64, 9승(2선발승) 7패 27세이브세이브 1위
1992롯데 자이언츠염종석투수평균자책 2.33, 17승(15선발승) 9패 6세이브평균자책 1위, 골든글러브, 선발승 공동 3위
1993삼성 라이온즈양준혁1루수타율 0.341, 130안타, 23홈런, 90타점타격 1위, 장타율 1위, 출루율 1위, 홈런 2위, 타점 2위
1994LG 트윈스유지현유격수타율 0.305, 15홈런, 51도루
1995삼성 라이온즈이동수내야수타율 0.288, 22홈런
1996현대 유니콘스박재홍외야수타율 0.295, 30홈런, 36도루, 108타점프로야구 최초 30-30클럽, 홈런 1위, 타점 1위, 골든글러브
1997LG 트윈스이병규외야수타율 0.305, 151안타, 7홈런, 23도루골든글러브
1998현대 유니콘스김수경투수평균자책 2.76, 12승(11선발승) 4패 2세이브신인 최다 탈삼진, 승률왕, 선발승 공동 10위
1999두산 베어스홍성흔포수타율 0.258, 91안타, 16홈런


3. 1. 3. 2000년대

한국 프로 야구 최초 트리플 더블 (10승 11홀 16S)2006한화 이글스류현진투수평균자책 2.23, 18승 6패, 204탈삼진투수 삼관왕(다승/탈삼진/평균자책 1위), 시즌MVP, 골든글러브2007두산 베어스임태훈투수평균자책 2.40, 7승 3패 1세이브 20홀드홀드 2위2008삼성 라이온즈최형우외야수타율 0.276, 106안타, 19홈런, 71타점방출 경력 신인왕 (이후 2011 홈런왕)2009두산 베어스이용찬투수평균자책 4.20, 26세이브세이브 공동 1위


3. 1. 4. 2010년대

연도소속 팀선수명포지션시즌 성적주석 및 기타
2010두산 베어스양의지포수타율 0.267, 100안타, 20홈런, 68타점신인 포수 최초 20홈런
2011삼성 라이온즈배영섭외야수타율 0.294, 100안타, 2홈런, 24타점, 33도루역대 최고령 신인왕 (만 25세)
2012넥센 히어로즈서건창2루수타율 0.266, 115안타, 1홈런, 70득점, 39도루3루타 1위, 도루 2위, 골든글러브, 방출 경력 신인왕, 구단 첫 신인왕(이후 2014 MVP 수상)
2013[9]NC 다이노스이재학투수평균자책 2.88, 10승(모두 선발) 5패 1세이브평균자책점 2위, WHIP 1위, 구단 첫 신인왕, 3번째 신생팀 첫 신인왕, 2차 드래프트 이적 경력 신인왕
2014NC 다이노스박민우2루수타율 0.298, 124안타, 1홈런, 87득점, 50도루도루 2위, 역대 최초 신생팀 2년 연속 신인왕 배출
2015삼성 라이온즈구자욱1루수, 3루수, 외야수타율 0.349, 143안타, 11홈런, 57타점, 97득점, 17도루역대 최고 타율 신인왕
2016넥센 히어로즈신재영투수평균자책 3.90, 15승(모두 선발) 7패다승 공동 3위, 평균자책점 7위, 선발승 공동 3위, 트레이드 경력 신인왕
2017[10]넥센 히어로즈이정후외야수타율 0.324, 179안타, 2홈런, 47타점, 12도루2007년 임태훈 이후 10년 만에 루키 신인왕, 신인 최다 안타 (179안타), 신인 최다 득점 (111득점), 1998년 강동우 이후 신인 첫 3할 타율
2018kt wiz강백호외야수타율 0.290, 153안타, 29홈런, 84타점, 3도루2년 연속 루키 신인왕, kt wiz 구단 첫 신인왕, 역대 최초 고졸 신인 시즌 1번째 홈런, 1996년 박재홍에 이은 루키 신인 홈런 2위(박재홍 1996년 30홈런)
2019LG 트윈스정우영투수평균자책 3.72, 4승 6패 1세이브 16홀드3년 연속 루키 신인왕, 홀드 8위, 1997년 이병규 이후 22년 만의 LG 트윈스 구단 신인왕


3. 1. 5. 2020년대

2020년 소형준(kt wiz)은 평균자책 3.86, 13승(모두 선발) 6패로 선발승 7위를 기록하며 신인상을 수상했다.[6]

2021년 KIA 타이거즈이의리는 평균자책 3.61, 4승 5패, 94탈삼진을 기록하며 타이거즈 구단 역사상 두 번째 신인왕이 되었다.[7]

2022년 두산 베어스정철원은 평균자책 3.10, 4승 3패, 23홀드를 기록하며 역대 신인 최다 홀드 신기록을 세우고 신인상을 받았다.

2023년 한화 이글스의 문동주는 평균자책 3.72, 8승 8패, 95탈삼진을 기록하며 신인상을 수상했다.

2024년 두산 베어스김택연은 평균자책 2.08, 3승 2패, 78탈삼진을 기록하며 신인상을 수상했다.

연도선수포지션시즌 성적
2020소형준kt wiz투수평균자책 3.86, 13승(모두 선발) 6패
2021이의리KIA 타이거즈투수평균자책 3.61, 4승 5패, 94탈삼진
2022정철원두산 베어스투수평균자책 3.10, 4승 3패, 23홀드
2023문동주한화 이글스투수평균자책 3.72, 8승 8패, 95탈삼진
2024김택연두산 베어스투수평균자책 2.08, 3승 2패, 78탈삼진


3. 2. 구단별 배출 현황

구단횟수선수
OB 베어스/두산 베어스8박종훈(1983), 윤석환(1984), 홍성흔(1999), 임태훈(2007), 이용찬(2009), 양의지(2010), 정철원(2022), 김택연(2024)
태평양 돌핀스/현대 유니콘스6박정현(1989), 박재홍(1996), 김수경(1998), 조용준(2002), 이동학(2003), 오주원(2004)
삼성 라이온즈6양준혁(1993), 이동수(1995), 오승환(2005), 최형우(2008), 배영섭(2011), 구자욱(2015)
MBC 청룡/LG 트윈스6김건우(1986), 이용철(1988), 김동수(1990), 유지현(1994), 이병규(1997), 정우영(2019)
빙그레 이글스/한화 이글스5이정훈(1987), 김태균(2001), 류현진(2006), 문동주(2023)
NC 다이노스2이재학(2013), 박민우(2014)
넥센 히어로즈/키움 히어로즈3서건창(2012), 신재영(2016), 이정후(2017)
해태 타이거즈/KIA 타이거즈2이순철(1985), 이의리(2021)
쌍방울 레이더스1조규제(1991)
롯데 자이언츠1염종석(1992)
SK 와이번스1이승호(2000)
KT 위즈2강백호(2018), 소형준(2020)


4. 특징적인 수상 사례

KBO 리그에서는 다양한 특징적인 신인왕 수상 사례들이 있었다.

1996년 현대 유니콘스의 박재홍은 신인 최초로 30-30 클럽에 가입했다. 1998년 현대 유니콘스의 김수경은 신인 최다 탈삼진 기록을 세웠으며, 2006년 한화 이글스류현진은 투수 삼관왕과 시즌 MVP를 동시에 석권했다.

2011년 삼성 라이온즈배영섭은 만 25세로 역대 최고령 신인왕을 수상했고, 2015년 삼성 라이온즈구자욱은 역대 최고 타율로 신인왕을 차지했다. 2017년 넥센 히어로즈의 이정후는 신인 최다 안타 및 득점 기록을 경신했고,[1][2] 2022년 두산 베어스정철원은 역대 신인 최다 홀드 기록을 세웠다.

이 외에도, 2008년 삼성 라이온즈의 최형우와 2012년 넥센 히어로즈의 서건창은 방출 후 다시 선수로 등록되어 신인왕을 수상하는 특별한 경력을 가졌다. 2013년 NC 다이노스의 이재학은 신생팀 최초로 신인왕을 수상했으며, 2016년 넥센 히어로즈의 신재영은 트레이드 후 해당 시즌에 신인왕을 수상한 첫 사례이다.

4. 1. 최초/최고 기록

기록선수연도소속팀비고
프로야구 최초 30-30클럽박재홍1996년현대 유니콘스
신인 최다 탈삼진김수경1998년현대 유니콘스
투수 삼관왕 및 시즌 MVP류현진2006년한화 이글스
역대 최고령 신인왕배영섭2011년삼성 라이온즈만 25세
역대 최고 타율 신인왕구자욱2015년삼성 라이온즈
신인 최다 안타 및 득점이정후2017년넥센 히어로즈[10]
역대 신인 최다 홀드정철원2022년두산 베어스


4. 2. 기타 특이사항

참조

[1] 웹사이트 Teen sensation captures S. Korean baseball's top rookie award in landslide http://english.yonha[...] 2017-12-11
[2] 웹사이트 강백호, KT 첫 신인왕…"매해 발전하는 선수 되겠다" https://www.seoul.co[...] 2020-09-27
[3] 뉴스 '고졸신인 최다홈런' kt 강백호, KBO 신인상 영예 https://www.yna.co.k[...] 2018-11-19
[4] 웹사이트 '투수 3관왕' 두산 린드블럼, MVP·신인왕은 LG 정우영(종합) https://sports.news.[...] 2020-06-18
[5] 웹사이트 "[MD포토] LG 정우영 '신인왕의 주인공'" http://mydaily.co.kr[...] 2020-09-27
[6] 웹사이트 신인왕 소형준· MVP 로하스…KT '올해 상복 5G네' http://news.khan.co.[...] Kyunghyang Shinmun 2020-12-02
[7] 웹사이트 (LEAD) Teen left-hander wins KBO's top rookie award https://en.yna.co.kr[...] 2021-11-29
[8] 서적 2013 대회 요강 (사)한국야구위원회
[9] 문서
[10]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